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7

금융소득; 종합소득세, 이자, 배당 금융소득에서 이자와 배당만 있는 경우 종합소득세에서 세금은 얼마나 나오는지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세금은 금융소득이 2천만 원에서 8천만 원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금융소득 종합소득세 금융소득 금융소득에는 이자와 배당이 있습니다. 이자와 배당의 합계액인 연간 2천만 원 미만이면 세금은 원천징수됩니다. 예를 들어 이자로 1백만 원을 받게 되면 원천징수 세율 14%와 지방세 10%를 제외하고 받게 됩니다. 1백만 원의 14%인 140,000원과 140,000원의 10%인 14,000원을 합한 금액 154,000원을 제하고 846,000원을 받게 됩니다. 금융소득이 2천만 원부터는 종합과세가 됩니다. 종합소득세 이자와 배당금이 연간 2천만 원이 되면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가 되어 금융소득 이외의 소득.. 2023. 3. 8.
채권; 금리 추이 23년 03월 03일 채권 금리 추이 230303 기준금리와 채권금리를 살펴보겠습니다. 기준금리 기준금리는 2월 23일에 동결하여, 지난번과 동일하게 3.5%입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 3.5% 다음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는 4월 13일에 있습니다. 미국의 기준금리는 이전과 동일하게 4.75%입니다. 미국연방준비은행 기준 금리 4.75% 다음 금리 결정 회의는 3월 21일에서 22일에 예정되어 있습니다. 채권금리 월별 통계 채권금리와, 일별 채권금리를 확인하겠습니다. 월별 통계 금리 금융위원회 통계를 기반으로, 23년 1월까지 채권 금리입니다. 지난달과 같이 국고채 및 회사채 금리는 계속 내리고 있습니다. 12월과 비교하여 12월에 국고채 3년, 5년, 10년물은 각각 -0.17%, -0.17%, -0.13% 하락하였습니다. 회.. 2023. 3. 3.
기준금리; 나스닥 지수 미국의 기준 금리와 나스닥 지수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연도 별로 살펴보겠습니다. 미국 기준 금리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08년 2020년 미국 기준 금리 미국의 기준 금리가 어떻게 변해왔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이 그림은 미국의 FRED에서 제공하는 미국 기준 금리입니다. 기준 금리가 변화할 때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 지수는 어떠했는지 같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파란색 선은 미국의 기준 금리입니다. 빨간색은 나스닥 지수입니다. 전체적으로 금리가 하향하였고 나스닥은 상향한 것 같습니다. 여기서 금리가 변동되는 시기에 나스닥의 변화도 같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각각의 데이터는 매월 1일을 기준으로 하였기에 변동 폭이 작아 보일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980년대 미국의 1980년대 .. 2023. 3. 3.
국민연금; 관련 국민연금과 관련하여 알아두면 좋은 부분입니다. 예를 들면 국민연금을 받고 있는데 소득활동으로 인해 소득이 발생했을 때 국민연금 수령액은 어떻게 되는지 또는 국민연금을 조금 더 빠르게 받는 방법같이 국민연금 관련하여 알아 두시면 좋은 부분을 알아보겠습니다. 소득활동과 국민연금 노령연금 미리 받기 노령연금 나중에 받기 분할연금, 이혼 장애연금, 유족연금을 받고 있는 경우 유족연금과 재혼 유족연금과 노령연금 국민연금(노령연금)의 세금 국민연금과 종합소득세 연말정산과 부양가족 국민연금과 압류 국민연금과 해외이주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수급자가 받는 지급일 소득활동과 국민연금 소득활동에 따른 국민연금(노령연금) 감액 국민연금을 받고 있는데 소득이 발생하면 지급 정지나 연금액이 줄어듭니다. 이때 지급 정지나 감액되는 .. 2023. 2. 26.
반응형